자료실

필터
[분석]우리나라 원전확대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교
[분석]우리나라 원전확대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교

우리나라 모든 에너지계획의 기본이 되는 에너지기본계획 두 번째가 지난 1월 14일 국무회의를 통과해서 확정되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처음 만들어지는 에너지기본계획에 국내외 이목이 쏠렸다.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포함된 민관워킹그룹까지 구성해서 논의했지만 정부는 취사선택했다. 2차 계획의 방향으로 제시된 6대 과제의 첫 번째가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전환’이고 두 번째가 ‘분산형 발전시스템의 구축’이며 세 번째가 ‘환경, 안전과의 조화 모색’으로 기존의 공급중심 에너지정책의 기조가 바뀐 것처럼 보이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방향의 전환과 상관없이 더 악화되었다. 여기서 ‘악화’의 의미는 효율성, 안전성, 안정성, 환경성 등의 측면에서의 평가다.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효율을 높이고 재생가능에너지와 같이 환경과 안전에 위험도가 적은 에너지원의 확대가 미래지향적이라고 본다면 2차 에너지기본계획은 그 반대로 악화되었다는 의미다. 결과적으로 경제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에너지소비전망은 1차 계획을 훌쩍 넘어 2035년이 되면 현재 1인당 에너지소비 1위 국가인 미국을 앞서게 된다. 미국인들처럼 에너지를 다소비하고 자원을 낭비하면 지구가 5개가 되어도 모자란다는 평가가 있다. 국토도 좁고 인구밀도도 높아 1인당 점유면적도 적은 우리나라 1인당 에너지소비가 그런 미국의 1인당 에너지소비를 넘어선다는 비현실적인 계획이 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근간이다. 에너지소비 중에서도 전기비중이 특히 대폭 상승해서 에너지소비의 비효율구조가 강화되는 것으로 전망했다. 나아가서 원전에 대해서는 사실상 확대 정책을 인정했고 신재생에너지는 1차 계획에서 별로 진전되지 못했다. 그리고 원전에 대해서는 에너지기본계획의 하위계획에서나 발표되는 원전 총 설비용량까지 구체적으로 적시했고 신재생에너지는 2035년까지의 비율만 제시되어 있어서 절대량이 얼마나 될 것인지 예측할 수 없게 되어 있다.   29% 원전 비중에 담긴 의미 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2030...

2014.04.24.

전력난과 에어컨, 원자력의 관계 정리
전력난과 에어컨, 원자력의 관계 정리

전력난과 에어컨, 원자력의 관계 정리 전력난의 주범? 음.. 상황을 보면.. 2013년 7월 현재 평일 전력예비율은 5~10%를 왔다갔다하고 있다. 주말에는 전력예비율이 10~30%를 왔다갔다하고 있고.. 더 정확한 자료는 전력거래소( http://www.kpx.or.kr )를 보면 된다. 평일과 주말이 다른 이유는 주말에는 그래도 공장과 사무실이 쉬니까 그러는 거고.. 대충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전력예비율이 5% 이후로 떨어지면 주의, 심각 뭐 이런 단계로 경보가 발령된다. 그 나마 현재는 장마철이어서 다행인 상황이고, 장마철이 끝나는 7월말부터 8월10일 정도까지는 휴가철이어서 또 다행이고, 그 후에는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는 일이다. 현재도 평일에 전력 예비율이 5~10%를 왔다 갔다 하니까.. 솔직히 이렇게 가다가는 여름휴가철이 지나면 단전을 해야하는 상황이 될듯하다. 그래서 정부에서도 이러저러한 계획들을 내 놓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없다. 결국 정부도 단전을 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단전 순서까지 정해 놓았다. 이유는 최악의 블랙아웃을 막기 위해서.. 그런데 그 순서는 주택, 백화점, 공장 순이다. 여기서 욕 한번 해야 한다.. 젠장.. 구 분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주택용 19.5 19.5 19.6 19.5 19.4 18.9 18.7 18.5 17.8 16.9 상업용 28.6 29.3 29.7 30.4 30.6 30.5 30.8 31.3 30.8 29.9 기계전자 13.6 14.1 15.0 15.9 16.5 17.1 17.5 17.2 18.3 19.1 산업용 51.9 51.2 50.7 50.2 50.1 50.5 50.5 50.1 51.4 ...

201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