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충줍깅 성상조사 결과 공유

관리자
발행일 2022-12-28 조회수 50

 

7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청충줍깅의 성상조사 결과를 공유합니다!
 
🔎 조사 결과 🔎
회차별 줍깅 결과 요약

※ 종량제 봉투는 50L 크기 사용
 
1차(7.23) 상당구 성안길

👉 성안길은 번화가이지만 주점보다는 일반 음식점과 카페가 몰려있는 곳입니다.
때문에 담배꽁초 · 담배곽, 1회용컵 · 빨대의 비율이 수거 비율이 높았습니다.
폐지에서도 전단지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주로 컵홀더가 보였습니다.
 
2차(8.27) 강서동 롯데슈퍼 일대
(단위 : kg)

👉 강서동은 줍깅 장소에 아파트 단지, 주택가가 위치해 있어서 우산과 같은 생활 쓰레기도 발견되었습니다.
마스크도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었는데 주거지이기에 상대적으로 마스크를 잘 챙기지 않게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성안길에 비해 주점의 비율이 높아 1회용컵만이 아니라 페트병과 숙취해소제 같은 잡병들이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3차(9.17) 충북대학교 중문 일대
(단위 : kg)

👉 충북대학교 중문에서는 담배꽁초 · 담배곽이 5곳 중 가장 많이 수거되었습니다.
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전단지가 많이 뿌려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그로인해 전단지 다수가 거리에 버려져 있었습니다.
 
4차(10.22) 율량동 라마다호텔 일대
(단위 : kg)

👉 율량동은 주점, 일반음식점이 많이 밀집해있어 담배꽁초, 1회용컵에 이어 식당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비닐류가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매장 앞에 쓰레기를 내놓는데, 비닐을 따로 모아 분리배출하지 않거나 종량제 봉투에 제대로 담기지 않아 거리에 버려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충북대학교 중문 지역처럼 전단지가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5차(11.26) 용암동 용암광장
(단위 : kg)

👉 용암동은 페트병이 타 지역보다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폐지의 비율도 높았는데 전단지 보다는 매장에서 버려진 박스가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 결과 분석 🔎
✔️ 5차에 걸쳐 진행된 청충줍깅에서 가장 많이 수거된 쓰레기는 담배꽁초입니다.
식당과 주점이 밀집된 번화가에서 진행되어 거리 곳곳에 담배꽁초가 아무렇게나 버려져 있는데요.
주로 식당 옆 골목 또는 식당 근처 구석에 모여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식당을 찾는 사람들이 주로 같은 곳에서 담배꽁초를 버린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담배꽁초 만큼 담배곽도 만만치 않게 발견되었습니다. 흡연 자리에서 담배꽁초와 담배곽을 함께 버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담배곽 안에 담배꽁초를 모아 함께 길거리에 버려두기도 했는데, 담배꽁초를 담배곽안에 모으는 행동에서
담배곽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행동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는 것이 눈에 띕니다.
특히나 담배곽은 겉을 감싸고 있는 비닐은 재활용 되기도 어려운데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닐을 따로 분리배출하지 않고 통째로 버리곤 합니다.
재활용이 어려운 것 뿐만 아니라 비닐이 잘게 찢어져 수거가 어렵고 여기저기 날아가 버린다는 문제가 큽니다.
✔️ 1회용컵은 특히 안에 내용물이 그대로 남은 채 버려진 컵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수거가 쉽지 않았고, 이런 1회용컵들은 내용물이 다 씻기지 않아 선별장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리에 아무렇게나 버려지는 것만큼 올바르게 분리배출 되지 않는 것은 1회용컵 사용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1회용컵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1회용품 사용규제, 1회용컵 보증금제는 제대로 시행될 필요가 있습니다.
✔️ 그 다음으로는 페트병과 잡병, 캔들이 발견되었습니다. 구매 후 들고 다니며 음료를 섭취하다가 그대로 거리에 버리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대부분의 페트병과 캔은 라벨이 제거되어있지 않았습니다.
라벨 제거가 용이하도록 제품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며, 라벨과 병을 바로 분리배출 할 수 있도록 쓰레기통이 설치되는 것과
분리배출을 올바르게 하는 시민의식 모두가 갖춰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 폐지는 대부분이 전단지와 박스로 수거되었습니다. 전단지는 무더기로 버려져 있기도 하고, 거리에 하나씩 버려져 있기도 했습니다.
사람들이 거부하고,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며, 읽혀지지도 않는 전단지를 계속 생산해내는 문제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코로나19 이후의 변화라고 하면 마스크가 자주 발견된다는 것입니다. 다회용 마스크는 발견되지 않았고 모두 1회용 마스크로 발견되었습니다.
마스크의 문제점은 올바르게 버려지지 않았을 때 야생동물을 해칠 수 있어 생태계의 새로운 위협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Attachments

Comment (0)